데이터 처리를 하다보면 타입을 바꿔야 되는 상황이 자주 생긴다.

 

예를 들어 문자 '10'을 숫자 10으로 바꿔야 되는 상황이 있을때 스프링부트에서는 어떻게 하는지 정리하였다.

 

public void helloV1(HttpServletRequest request) {
	String data = request.getParameter("data"); //문자 타입 조회
	Integer intValue = Integer.valueOf(data); //숫자 타입으로 변경
   }

위와 같이 직접 형변환을 해줄수도 있지만 형변환을 편하게 하는 방법들을 알아보자.

public String helloV2(@RequestParam Integer data) {
	System.out.println("data = " + data);
	return "ok";
}

@RequestParam을 사용하면 문자 10을 숫자 10으로 편리하게 받을 수 있다.

이 외에도 @ModelAttribute, @PathVariable 에서도 적용된다.

@ModelAttribute 
UserData data

class UserData {
	Integer data;
}

/users/{userId}
@PathVariable("userId") Integer data

하지만 타입을 직접 만들어서 사용하려면 Converter를 사용하면 된다.

public class StringToIntegerConverter implements Converter<String, Integer> {

	@Override
	public Integer convert(String source) {
	log.info("convert source={}", source);
	return Integer.valueOf(source);
	}
}

String 에서 Integer로 변환하는 Converter 예시이다.

이 외에도 같은 방식으로 원하는 타입으로 변환할 수 있다.

 

스프링에서 Converter를 사용하려면 WebMvcConfigurer를 상속받아서 등록을 해줘야 한다.

@Configuration
public class WebConfig implements WebMvcConfigurer {
    @Override
    public void addFormatters(FormatterRegistry registry) {
    registry.addConverter(new StringToIntegerConverter());
    }
}

추가로 타임리프를 사용한다면 ${{...}} 를 사용해서 자동으로 컨버전 서비스를 사용해서 변환된 결과를 출력해준다. 물론 스프링과 통합 되어서 스프링이 제공하는 컨버전 서비스를 사용하므로, 직접 등록한 컨버터들을 사용할 수 있다.

<ul>
 <li>${number}: <span th:text="${number}" ></span></li> # 기존방법
 <li>${{number}}: <span th:text="${{number}}" ></span></li> # 컨버전 서비스 적용 방법
<ul>

 

추가로 Fommater 를 같이 사용할 수 있는 DefaultFormattingConversionService가 있다.

@Configuration
public class WebConfig implements WebMvcConfigurer {
    @Override
    public void addFormatters(FormatterRegistry registry) {
    registry.addConverter(new StringToIntegerConverter());

    //추가
    registry.addFormatter(new 직접만든 포매터());
    }
}
 
 
 
 

 

스프링에서는 기본적으로 자주사용되는 여러가지 포맷터가 제공되니 사용할 수 있다.

@Data
static class Form {
    @NumberFormat(pattern = "###,###")
    private Integer number;
    @DateTimeFormat(pattern = "yyyy-MM-dd HH:mm:ss")
    private LocalDateTime localDateTime;
}

위와 같이 애노테이션 기반으로 형식을 지정해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출처 : 인프런 mvc 강의

스프링 인터셉터는 서블릿 필터와 비슷한 기술이지만 적용되는 순서와 범위 사용방법이 다르다.

 

스프링 인터셉터 흐름

  HTTP 요청 -> WAS -> 필터 -> 서블릿 -> 스프링 인터셉터 -> 컨트롤러

 

스프링 인터셉터 체인

  HTTP 요청 -> WAS -> 필터 -> 서블릿 -> 인터셉터1 -> 인터셉터2 -> 컨트롤러

스프링 인터셉터는 체인으로 구성되는데 중간에 인터셉터를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그를 남기는 인터셉터를 먼저 적용하고, 로그인 여부를 체크하는 인터셉터를 만들 수 있다.


스프링 인터셉터 구현

public interface HandlerInterceptor {
	default boolean preHandle(HttpServletRequest request, HttpServletResponse 
	response, Object handler) throws Exception {}
    
	default void postHandle(HttpServletRequest request, HttpServletResponse 
	response, Object handler, @Nullable ModelAndView modelAndView)
	throws Exception {}
    
	default void afterCompletion(HttpServletRequest request, HttpServletResponse 
	response, Object handler, @Nullable Exception ex) throws Exception {}
}

스프링 인터셉터를 구현하려면 HandlerInterceptor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면 된다.

preHandle : 컨트롤러 호출 전에 호출된다. (더 정확히는 핸들러 어댑터 호출 전에 호출된다.)
	preHandle 의 응답값이 true 이면 다음으로 진행하고, false 이면 더는 진행하지 않는다. 
	false인 경우 나머지 인터셉터는 물론이고, 핸들러 어댑터도 호출되지 않는다. 그림에서 1번에서 끝이 나버린다.
postHandle : 컨트롤러 호출 후에 호출된다. (더 정확히는 핸들러 어댑터 호출 후에 호출된다.)
afterCompletion : 뷰가 렌더링 된 이후에 호출된다

위의 인터페이스를 잘 구현했다면 스프링에 등록하면 작동하게 된다.

@Configuration
public class WebConfig implements WebMvcConfigurer {
	@Override
 	public void addInterceptors(InterceptorRegistry registry) {
 		registry.addInterceptor(new LogInterceptor())
 		.order(1)
 		.addPathPatterns("/**")
 		.excludePathPatterns("/css/**", "/*.ico", "/error");
 	}
}

인터셉터의 호출순서, 적용할 URL, 제외할 URL 패턴 등을 지정할 수 있다.

 

출처 : 인프런 강의

'개발공부 >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 타입 컨버터  (0) 2023.08.21
필터(Filter)  (0) 2023.08.02
데이터 검증 (Validation)  (0) 2023.07.31
타임리프에서 스프링부트 메시지 사용하기  (0) 2023.07.28
타임리프 기본 문법 정리 (form 태그)  (0) 2023.07.28

필터의 흐름은 다음과 같다.

 

HTTP 요청 -> WAS -> 필터 -> 서블릿 -> 컨트롤러

 

흐름에서 볼 수있듯이 필터는 http 요청을 받아서 컨트롤러에 가기전에 동작하고,

기능에 따라 컨트롤러에 접근하지 못하게 막아주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필터는 서블릿에서 지원하여 Filter 인터페이스를 구현해서 등록한 뒤 사용해야한다.

  # 필터의 3가지 메서드
  init(): 필터 초기화 메서드, 서블릿 컨테이너가 생성될 때 호출된다.
  doFilter(): 고객의 요청이 올 때 마다 해당 메서드가 호출된다. 필터의 로직을 구현하면 된다.
  destroy(): 필터 종료 메서드, 서블릿 컨테이너가 종료될 때 호출된다.

 


@Slf4j
public class LogFilter implements Filter {
	@Override
	public void init(FilterConfig filterConfig) throws ServletException {
	 	log.info("log filter init");
	}
    
 	@Override
 	public void doFilter(ServletRequest request, ServletResponse response,FilterChain chain) throws IOException, ServletException {
 		HttpServletRequest httpRequest = (HttpServletRequest) request;
		String requestURI = httpRequest.getRequestURI();
 		String uuid = UUID.randomUUID().toString();
 		try {
 			log.info("REQUEST [{}][{}]", uuid, requestURI);
 			chain.doFilter(request, response);
 		} catch (Exception e) {
 			throw e;
 		} finally {
 			log.info("RESPONSE [{}][{}]", uuid, requestURI);
 		}
 	}
    
 	@Override
 	public void destroy() {
 		log.info("log filter destroy");
 	}
}

 

먼저 HTTP 요청이 오면 doFilter가 호출되고 doFilter에서 chain.doFilter(request, response)는 다음 필터가 있으면 호출하고, 없으면 서블릿을 종료하기 때문에 이 로직을 호출하지 않으면 다음 단계로 진행되지 않는다.!!

 

이후 스프링 빈을 등록하면 동작하게 된다.

@Configuration
public class WebConfig {
	@Bean
 	public FilterRegistrationBean logFilter() {
 		FilterRegistrationBean<Filter> filterRegistrationBean = new FilterRegistrationBean<>();
 		filterRegistrationBean.setFilter(new LogFilter());
 		filterRegistrationBean.setOrder(1);
 		filterRegistrationBean.addUrlPatterns("/*");
 		return filterRegistrationBean;
 	}
}

폼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할때 올바른 데이터가 전송되는지 검증을 해야된다.

예를 들어 숫자을 입력해야 하는데 문자를 입력하는등 데이터 유효성을 검증 해야된다.

 

이러한 기능을 Bean Validation 을 사용하면 편하게 할 수있다.

 

우선 build.gradle 에 의존관계를 추가한다.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validation'

 

데이터 객체를 작성한곳에 가서 애노테이션을 추가해준다.

 

@Data
public class Item {

 private Long id;
 
 @NotBlank
 private String itemName;
 
 @NotNull
 @Range(min = 1000, max = 1000000)
 private Integer price;
 
 @NotNull
 @Max(9999)
 private Integer quantity;
 
 public Item() {
 }
 
 public Item(String itemName, Integer price, Integer quantity) {
 this.itemName = itemName;
 this.price = price;
 this.quantity = quantity;
 }
}

위 예시 코드처럼 객체의 매개변수에 검증 애노테이션을 사용한다

@NotBlank : 빈값 + 공백만 있는 경우를 허용하지 않는다.
@NotNull : null 을 허용하지 않는다.
@Range(min = 1000, max = 1000000) : 범위 안의 값이어야 한다.
@Max(9999) : 최대 9999까지만 허용한다.

위의 애노테이션에 message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직접 오류 메시지를 수정할 수 있다.

추가로 application.properties 파일에 spring.messages.basename=messages,errors 를 작성하고 errors.properties 파일을 만들어서 직접 오류 메시지를 관리할 수 있다.

#errors.properties
NotBlank={0} 값을 적어주세요. 
Range={0}, {2} ~ {1} 허용
Max={0}, 최대 {1}

위와 같은 기능은 MessageCodesResolver를 통해 오류 메시지 코드를 알 수있다.

 

이 후 컨트롤러에도 애노테이션을 추가해준다.

@ModelAttribute 애노테이션 이에 @Validated, 다음에 BindingResult를 작성하면 스프링이 알아서 검증을 하게된다.

컨트롤러에 데이터가 넘어올때 BindingResult가 검증 객체를 알고있어 rejectValue() 또는 reject()를 사용하면 FieldError, ObjectError를 다룰 수 있다.

@PostMapping("/add")
    public String addItem(@Validated @ModelAttribute("item") ItemSaveForm form, BindingResult bindingResult, RedirectAttributes redirectAttributes) {

        // 특정 필드가 아닌 복합 룰 검증
        if (form.getPrice() != null && form.getQuantity() != null){
            int resultPrice = form.getPrice() * form.getQuantity();
            if(resultPrice < 10000){
                bindingResult.reject("totalPriceMin",new Object[]{10000, resultPrice},null);
            }
        }

        // 검증에 실패하면 다시 입력 폼으로
        if(bindingResult.hasErrors()){
            log.info("errors={}",bindingResult);
            return "validation/v4/addForm";
        }

        // 성공 로직
        Item item = new Item();
        item.setItemName(form.getItemName());;
        item.setPrice(form.getPrice());
        item.setQuantity(form.getQuantity());

        Item savedItem = itemRepository.save(item);
        redirectAttributes.addAttribute("itemId", savedItem.getId());
        redirectAttributes.addAttribute("status", true);
        return "redirect:/validation/v4/items/{itemId}";
    }

 

출처 : 인프런 강의

웹 사이트를 만들다보면 공통되는 단어들이 있다.

 

이런 단어들을 한 곳에 모아서 적어두고 사용하게 된다면 수정할 때 번거로움이 줄어든다.

 

이런 기능을 만들기 위해서 스프링부트에서 메시지를 만들고 그 메시지안에 있는 단어들을 타임리프에서 사용하는 예제를 정리하였다.

 

스프링부트 프로젝트에서 우선 메시지를 생성한다.

"application.properties"에 다음 한줄을 추가한다.

spring.messages.basename=messages

 

"messages.properties"

label.item=상품
label.item.id=상품 ID
label.item.itemName=상품명
label.item.price=가격
label.item.quantity=수량

page.items=상품 목록
page.item=상품 상세
page.addItem=상품 등록
page.updateItem=상품 수정

button.save=저장
button.cancel=취소

 

타임리프에서 사용

아래와 같이 th:text 뒤에 #을 사용하여 메시지에 바로 접근할 수 있다.

<th th:text="#{label.item.id}">ID</th>
<th th:text="#{label.item.itemName}">상품명</th>
<th th:text="#{label.item.price}">가격</th>
<th th:text="#{label.item.quantity}">수량</th>

 

'개발공부 >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프링 인터셉터 (Interceptor)  (0) 2023.08.03
필터(Filter)  (0) 2023.08.02
데이터 검증 (Validation)  (0) 2023.07.31
타임리프 기본 문법 정리 (form 태그)  (0) 2023.07.28
타임리프 기본 문법 정리  (0) 2023.07.26

지난 글에 이어서 타임리프 기본 문법을 정리하겠습니다.

 

지난 글 >> https://bboungg.tistory.com/26

 

타임리프 기본 문법 정리

인프런 김영한님 스프링부트 강의를 들으면서 타임리프의 기본 문법을 정리하였다. 우선 dependencies 에 추가해 준다. dependencies{ ...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hymeleaf' ... } # 서

bboungg.tistory.com

 


Form 태그에서 사용예시 (th:field)

 

체크박스

보통 체크박스는 체크를 하지않고 데이터를 전송하면 서버에서는 null 값을 받을것이다.

하지만 아래와 같이 hidden으로 값을 전달하면 체크를 하지않으면 false 를 받는다.

<!-- single checkbox -->
<div>
 <div class="form-check">
 <input type="checkbox" id="open" name="open" class="form-check-input">
 <input type="hidden" name="_open" value="on"/> <!-- 히든 필드 추가 -->
 <label for="open" class="form-check-label">판매 오픈</label>
 </div>
</div>

<!-- multi checkbox -->
<div>
 <div>등록 지역</div>
 <div th:each="region : ${regions}" class="form-check form-check-inline">
 <input type="checkbox" th:field="*{regions}" th:value="${region.key}" class="form-check-input">
 <label th:for="${#ids.prev('regions')}" th:text="${region.value}" class="form-check-label">서울</label>
 </div>
</div>

여러 체크박스를 사용할때 컨트롤러에서 @ModelAttribute() 어노테이션을 사용하면 편하게 여러곳에서 사용할 수 있다.

아래의 예시처럼 하게되면 타임리프에서 "regions"로 Object를 받아서 사용하면 된다.

@ModelAttribute("regions")
public Map<String, String> regions() {
 Map<String, String> regions = new LinkedHashMap<>();
 regions.put("SEOUL", "서울");
 regions.put("BUSAN", "부산");
 regions.put("JEJU", "제주");
 return regions;
}

 

라디오 버튼

<!-- radio button -->
<div>
 <div>상품 종류</div>
 <div th:each="type : ${itemTypes}" class="form-check form-check-inline">
 <input type="radio" th:field="*{itemType}" th:value="${type.name()}" class="form-check-input">
 <label th:for="${#ids.prev('itemType')}" th:text="${type.description}" class="form-check-label">
 BOOK
 </label>
 </div>
</div>

 

셀렉트박스

<!-- SELECT -->
<div>
 <div>배송 방식</div>
 <select th:field="*{deliveryCode}" class="form-select">
 <option value="">==배송 방식 선택==</option>
 <option th:each="deliveryCode : ${deliveryCodes}" th:value="${deliveryCode.code}" 
 th:text="${deliveryCode.displayName}">FAST</option>
 </select>
</div>

'개발공부 >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프링 인터셉터 (Interceptor)  (0) 2023.08.03
필터(Filter)  (0) 2023.08.02
데이터 검증 (Validation)  (0) 2023.07.31
타임리프에서 스프링부트 메시지 사용하기  (0) 2023.07.28
타임리프 기본 문법 정리  (0) 2023.07.26

인프런 김영한님 스프링부트 강의를 들으면서 타임리프의 기본 문법을 정리하였다.

 

우선 dependencies 에 추가해 준다.

dependencies{
  ...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hymeleaf'
  ...
}
# 서버에서 보낸 데이터를 바로 사용할 때 (th:text 사용)
<li>th:text 사용 <span th:text="${data}"></span></li>
<li>컨텐츠 안에서 직접 출력하기 = [[${data}]]</li>

# 객체 데이터를 접근할 때 (SpringEL 표현식)
# Object				 # List						# Map
${user.username}		 ${users[0].username}		${userMap['userA'].username}
${user['username']} 	 ${users[0]['username']}	${userMap['userA']['username']}
${user.getUsername()}	 ${users[0].getUsername()}	${userMap['userA'].getUsername()}

# URL 링크, 파라미터 전송 (th:href)
<a th:href="@{/hello}">basic url</a>
<a th:href="@{/hello(param1=${param1}, param2=${param2})}">>hello query param</a>
<a th:href="@{/hello/{param1}/{param2}(param1=${param1}, param2=${param2})}">path variable</a>
<a th:href="@{/hello/{param1}(param1=${param1}, param2=${param2})}">path variable + query parameter</a>

# 반복 (th:each)
<tr th:each="user : ${users}">
 <td th:text="${user.username}">username</td>
 <td th:text="${user.age}">0</td>
</tr>
index : 0부터 시작하는 값
count : 1부터 시작하는 값
size : 전체 사이즈
even , odd : 홀수, 짝수 여부( boolean )
first , last :처음, 마지막 여부( boolean )
current : 현재 객체

# 조건 (th:if, th:unless, th:switch) ( if <-> unless )
# 해당조건이 맞지 않으면 태그 자체를 렌더링하지 않음 
<td>
 <span th:text="${user.age}">0</span>
 <span th:text="'미성년자'" th:if="${user.age lt 20}"></span>
 <span th:text="'미성년자'" th:unless="${user.age ge 20}"></span>
</td>

<td th:switch="${user.age}">
 <span th:case="10">10살</span>
 <span th:case="20">20살</span>
 <span th:case="*">기타</span>
</td>

# 블록 (th:block)
# 태그를 여러번 사용해야하는 경우에 사용
<th:block th:each="user : ${users}">
 <div>
 사용자 이름1 <span th:text="${user.username}"></span>
 사용자 나이1 <span th:text="${user.age}"></span>
 </div>
 <div>
 요약 <span th:text="${user.username} + ' / ' + ${user.age}"></span>
 </div>
</th:block>

# 자바스크립트 인라인 (th:inline)
# 자바스크립트 안에서 타임리프 사용
<script th:inline="javascript">
 var username = [[${user.username}]];
 var age = [[${user.age}]];
 //자바스크립트 내추럴 템플릿
 var username2 = /*[[${user.username}]]*/ "test username";
 //객체
 var user = [[${user}]];
</script>

 

이외에도 여러 가지 기능이 있지만 강의를 들으면서 이 정도는 정리해 두면 자주 볼 거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출처 : 인프런 스프링 MVC 강의

+ Recent posts